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정치/경제
종합경제
금융·주식
교통·건설·부동산
구정/구의회
사회
행정·교육
복지·환경
사건·사고
안전·방역
인사·동정
구인·구직
부고
문화
문화·공연
해외문화
여행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업탐방
동작구 순간포착
서울/지방 소식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정치/경제
종합경제
금융·주식
교통·건설·부동산
구정/구의회
사회
행정·교육
복지·환경
사건·사고
안전·방역
인사·동정
구인·구직
부고
문화
문화·공연
해외문화
여행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업탐방
동작구 순간포착
서울/지방 소식
전체 기사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정치/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서울/지방 소식
동작경제신문 소개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오피니언
기고
기고
다음
이전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43) - 과목을 선택하지 않는 교육과정으로 바꾼다면
고교학점제의 큰 특징은 과목선택제, 미이수제, 교수・학습 개선이다. 이 중 과목 선택제는 2002학년도에 고등학교 입학한 학생들부터 적용된 제7차 교육과정 때부터 적용되었던 제도라서 이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고교학점제에서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을 강조하다 보니 진로를 정하기는
김창현
2025.08.26 12:44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42) - 과목 선택, 어렵지 않아요
고교학점제를 폐지해 달라는 주장 중 하나는 과목 선택에 관한 사항이다. 다른 두 가지는 미이수제 도입, 교수・학습 개선이다. 성적을 5등급제로 산출하는 것, 수능을 개편한 것은 고교학점제 관련 사항이라 하더라도 대입제도 부분이지 고교학점제의 본질 부분은 아니다. 그런데 학생 개개인이 과목을 선택하는 과목 선택형 교육과정은
김창현
2025.08.18 14:22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41) - 의대 지역인재전형에 지원하려고 해요.
Q.지역인재전형으로 의대에 지원할 때는 2024학년도 결과를 기준으로 삼으면 된다면서요? 모집 인원 변화와 참고 기준 지역인재전형으로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교과전형은 2025학년도에는 1,000명 정도를 선발했는데, 2026학년도에는 600명 좀 넘는 인원을 선발합니다. 이 인원은 2024학년도보다는 몇 십명 많은 인원이
김창현
2025.08.11 14:55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40) - 2026 대입 수도권 의대 전형
의대열풍, 식지 않는 이유 국가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슈 중 하나가 의대 열풍입니다. 올해도 의대 열풍은 식지 않을 전망입니다. 열풍이 식으면 의대 가기가 좀 쉬워지겠지만, 올해는 의대 선발 인원도 2024학년도 인원으로 돌아가서 더 치열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럴 때 이공계 지원자라면 더 쉽게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김창현
2025.08.04 13:23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9) - 고교학점제 개선안을 만든다
교육부는 지난 7월 17일, 보도자료에서 ‘고교학점제, 현장 부담 완화를 위한 개선안 만든다’고 발표했다. 개선안은 금년 하반기에 마련한다고 했다. 현재 교육부가 파악하고 있는 문제점은 ‘새로운 제도 시행에 따른 생소함과 불편, 다양한 선택과목 개설 및 전과목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에 따른 교사의 업무 부담, 학생‧학부
김창현
2025.07.28 23:47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8) - <수행평가 폐지해 주세요.>? (2)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 교수를 중앙일보 최형구 홍콩 특파원이 인터뷰한 2007년의 기사는 한때 우리 교육에 경종을 울리는 언사로 회자되었었다. ①“한국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교육이 정반대로 가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 학생들은 하루 10시간 이상을 학교와 학원에서 자신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
김창현
2025.07.21 16:45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7) - <수행평가 폐지해 주세요.>? (1)
미국에서 1년을 보내고 온 중학생 엄마가 우리나라와 미국 학교의 차이에 대하여 한 이야기 중 기억에 남는 하나.“우리나라는 시험 결과만 성적에 반영하는데, 미국은 과정도 성적에 반영한다.(앗, 우리도 과정평가 하는데.) 그런데 과정을 평가할 때 학생이 완벽하게 해낼 때까지 계속 조언하고 기회를 주어 완벽한 결과물을 낼
김창현
2025.07.14 15:26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6) - 전공자율선택제로 진학할 때 과목 선택
고2, 3학년 때 배울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데, 전공자율선택제로 선발하는 모집단위에 지원하면 성적이 잘 나올 과목으로 선택하면 되지 않나요?과목 선택에서 국어과와 영어과는 대부분 한 학기에 한 과목 정도를 선택해서 잘하면 되니 국어와 영어 교과 내에서 과목 선택을 할 때 관심이 더 가는 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문제는 수학
김창현
2025.07.07 17:41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5) - 3학점 개설과 4학점 개설의 차이
고등학교 2, 3학년의 선택과목을 3학점으로 개설하는 것이 좋은지 4학점으로 개설하는 것이 좋은지는 지난 206호에서 다루었던 내용인데, 지난 6월 27일, 전남 나주 소재 한국에너지공대(KENTECH)에서 열린 한국진로진학정보원과 광주 및 전남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호남지역 진로진학상담교사 워크숍에서도 언급
김창현
2025.06.30 16:20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4) - 새 정부에서 고교학점제는 어떻게 될까(3)
고교학점제의 특징 중 하나는 교수・학습 개선이다. 교수・학습 개선은 오래된 주제이다. 1985년부터 1987년까지 3년간 설치되었던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교육개혁심의회에서 1986년 6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의 주체가 되는 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했다. 보고서에서 토의, 분석, 역할유희 등의 다양한
김창현
2025.06.23 15:39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3) - 새 정부에서 고교학점제는 어떻게 될까(2)
99년 8월 조선일보에는 '교실이 무너지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부제를 ‘수업시간 잠자거나 만화책 봐...자리 비워도 못 본 척’이었다. 이 무렵 이렇게 고등학교까지 다닌 학생이 버젓이 졸업하는 나라는 지구상에 없을 것이라는 반성도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급제도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김창현
2025.06.16 21:43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2) - 새 정부에서 고교학점제는 어떻게 될까?(1)
문재인 정부는 2017년의 대선 공약으로 ‘고교학점제로 진로 맞춤형 교육 추진’을 내세웠다. 박근혜 정부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여 2018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생부터 적용할 예정이었고, 이 학생들이 치를 2021학년도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 전형의 모습을 두고 논란이 있었던 시기에 새로운 이슈를 꺼낸 셈이
김창현
2025.06.09 15:43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1) - 고기사업, 13개 대학은 정시 40% 규제 유지
교육부는 2025년 5월 29일 ‘2025~202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세간에서는 이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을 '고기사업'이라고 부른다. 이 사업은 ‘전형 운영의 공정성·투명성을 확보하여 대입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입전형 간 연계성을 제고하여 수험생의 대입준비
김창현
2025.06.02 13:46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30) -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2)
지난 229회차 글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1)에 이은 글입니다. 4장은 ‘학생부종합전형 준비 방법’이다. 학생이 이루어야 할 모습은 서울대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한 학생상이다. - 폭넓고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노력하는 학생 - 스스로 알고자 하며 적극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학생 - 바른 인성과 공동체 의식을
김창현
2025.05.26 16:26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29) -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1)
지난 5월 2일, 서울대학교는 입학 공지사항에 『2026학년도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책자를 탑재했다. 서울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입학사정관제로 불리던 2010년경부터 안내 책자를 발간해 왔다. 책자에는 서울대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과 사례 등이 담겨 있다.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려는 학생의 모습은
김창현
2025.05.19 15:15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28) - 인문계에서 서울대가기 어려운 이유
학부모님이 묻습니다."우리 아이 다니는 학교의 입시 결과를 보니 인문계반에서는 서울대를 몇 년째 한 명도 붙은 적이 없다는데 왜 그럴까요?"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인문계와 자연계의 장벽을 없앴으므로 인문계라는 말이 적절하지는 않지만, 대학은 인문계, 자연계 모집단위가 있고, 전공자율선택제에서도 많은 모집단위는 인문
김창현
2025.05.12 14:57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27) -‘사탐런’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여대 등 17개교가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이공·의학계열에 지원하는 수험생에게 수능 ‘미적분’ ‘기하’ ‘과학탐구’ 점수를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고려대, 서울시립대, 한국교원대 등 6개교는 수학(‘미적분’ ‘기하)과 과학탐구 점수 중 하나만 필수로 제출하도록 규정을 완화했다. 문·이과 통
김창현
2025.05.06 16:36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226) -‘함께학교’ 누리집을 찾아서
함께학교는 EBS가 제공하는 여러 교육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검색창에 ‘함께학교’라고 검색하면 누리집이 나타납니다. 주소는 www.togetherschool.go.kr 함께학교는 ‘교육부가 2023년 11월 20일 개통한 디지털 소통 플랫폼입니다. 학생·학부모·교사가 함께 교육정책을 논의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공간’이
김창현
2025.04.29 12:21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