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한박사의 알기 쉬운 ESG 지속가능경영 이야기 17 - TCFD 표준 가이드라인

김창현 승인 2024.02.21 11:24 의견 0

TCFD는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약자로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이다. 2015년에 G20 산하에 국제 금융규제·감독 역할을 하는 금융 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에서 설립했다. 기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기후변화의 리스크와 기회요인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재무적으로 통합해 공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CFD에서는 2017년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4가지 핵심 요소인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감축 지표와 목표에 따라 기후변화 관련 위험 정보를 공개하라는 TCFD 권고안을 발표했다. 기후위기 위험을 금융 안정성 모니터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기후 변화를 단순히 환경보호 측면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기업의 위험관리에 필요한 요소로 인식하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담고있다.

2021년 10월 기준(TCFD 2021 상태 보고서)으로 전 세계 89개 국가에서 금융·정부기관 등을 포함한 2천600개 이상이 TCFD 지지 선언을 했다. 해당 금융기관들의 총자산 운용 규모는 194조 달러, 기타 전 산업에 걸친 지지 선언 기업의 시가총액은 25조 달러 규모에 이른다. 2022년 3월을 기준(TCFD 웹사이트)으로 해서 93개국 3천100개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우리나라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위원회, 환경부 등 88개 기관이 참여하면서 놀라운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 일본, 뉴질랜드, 영국 등에서는 TCFD에 대한 단순 지지를 넘어 권고안에 따른 보고서 발간을 기업에 공식적으로 요구하는 등 이행 수준을 점차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TCFD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앞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업의 위험와 기회를 식별하고 경영활동과 투자 등 관련 의사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단기·중기·장기의 기후변화 위험을 사전에 관리하여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TCFD는 의무가 아닌 자발적 공시다.

별도의 단독 보고서로 발간하거나 기존에 기업이 발간하는 연례보고서 또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내의 일부로 포함하는 방식으로 작성 할 수 있다. TCFD 권고안에 따라 목차는 일반적으로 지배구조·전략, 위험관리, 감축 지표와 목표의 4대 영역을 기준으로 나눠 공시한다. 보고서 형식에 따라 서론과 결론을 별도로 작성하기도 한다.

국내 기업의 대다수가 기후변화 위험 계량화는 물론이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이 익숙하지 않아서 이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ESG 경영 확산에 따라 관련 이사회 조직이 신설되는 등 지배구조 영역도 아직 미비한 수준으로 국내 TCFD 공시는 여러 가지로 활발하지 않은 어려운 상황이다.

TCFD는 자율 공시임에도 국제 ESG 공시표준 차원에서 확대 적용 및 의무화하는 추세가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후변화 리스크를 파악해서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CFD 공시는 데이터의 취합과 신뢰성 확보, 리스크 평가, 재무 영향의 추정, 분석 등 여러 단계를 아우르는 다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조직 내부에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구비하고 연관 부서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 다음에 권고안에 기반해서 기업이 처한 조직 및 산업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하면서 사전에 충분히 준비할 수 있다.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것은 대내외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공개 가능한 최대한의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려는 의지일 것이다.

※본 칼럼은 ROTC뉴스에 동시 연재되고 있습니다.


◆◆ 필자소개 ◆◆

◆ 경력
(현) (주)한국산업기술경영연구원 대표
(현) KIITM 아카데미 교육연수기관 원장
(현)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경영공학박사
(현) 산업응용분야 공장관리기술사
(현) 경영지도사(생산관리)
(현)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
(현) 서울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전문 상담위원
(현) 경기테크노파크 기술닥터
(현) 스마트팩토리혁신추진단 스마트평가위원
(현) K-ESG평가원 기획평가위원회 진단‧평가위원
(현) 메인비즈협회 ESG 경영컨설팅 전문위원
(현) ISO인증 검증(선임)심사원
(현) ISO인증 & ESG 심사원/전문가 양성과정 교육 전담교수
(현)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 평가위원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평가위원 외.

◆ 전문분야
기업진단, 경영전략, 공정개선, 생산혁신, 품질개선, 경영컨설팅, ISO인증심사,
ESG진단.평가, ESG컨설팅, ISO인증심사원 및 ESG심사원 양성과정 교육
(교육과정: ISO9001/14001/45001/50001/27001/37001/ESG심사원 양성과정 외 다수)

◆ 저서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ESG 완전정복]
-ESG 경영의 이해와 실행 지침서-

저작권자 ⓒ 동작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