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정치/경제
종합경제
금융·주식
교통·건설·부동산
구정/구의회
사회
행정·교육
복지·환경
사건·사고
안전·방역
인사·동정
구인·구직
부고
문화
문화·공연
해외문화
여행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업탐방
동작구 순간포착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정치/경제
종합경제
금융·주식
교통·건설·부동산
구정/구의회
사회
행정·교육
복지·환경
사건·사고
안전·방역
인사·동정
구인·구직
부고
문화
문화·공연
해외문화
여행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업탐방
동작구 순간포착
전체 기사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정치/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동작경제신문 소개
자유게시판 & 사고팔고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오피니언
기고
기고
다음
이전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6) - 대입제도 개편사(8) 김대중 정부의 대입 개선(2)
김대중 정부의 교육정책 중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한 정책을 꼽는다면 ‘무엇이든 하나만 잘하면 대학 간다.’는 슬로건으로 대표되는 성적 제1주의 대입제도 탈피, 학생부 교과성적을 상대평가 성적과 절대평가 성적을 대학에 모두 제공하게 한 것, 교육 정보화를 추진한 것을 들 수 있다. 절대평가 평어를 대학에 제공하기로 한 것
김창현
2023.09.25 22:27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갯벌
김창현
2023.09.14 17:36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5) - 대입제도 개편사(7) 김대중 정부의 대입 개선(1)
1997학년도 대입제도는 1996학년도와는 많이 달랐다. 종합생활기록부는 1997학년도 대입에 한하여 40% 의무 반영하고 이후에는 반영 여부, 반영 비율, 반영 방법을 대학 자율로 결정하도록 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30 문항(언어 5, 수리·탐구Ⅱ 20, 외국어 5 문항 확대)이 되었고, 시간도 30분이 늘어 390
김창현
2023.09.12 13:20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한강대교
김창현
2023.09.07 09:31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4) - 대입제도 개편사(6) 제6차 교육과정과 대입
1996년은 제6차 교육과정이 1학년에 적용되는 해였습니다. 고3 교실에서는 1997년 수능 대비 학습을 했습니다. 1996년 고3과 1997년 고3은 제5차 교육과정으로 배웠습니다. 수능 과목은 5차 교육과정이나 6차 교육과정이나 차이가 없습니다. 1997년 대입에서부터 교육개혁위원회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대학별고사는 금
김창현
2023.09.04 18:21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3) - 대입제도 개편사(5) 5·31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1995년은 학교 교육에서 큰 변화를 준비하는 해였다. 교육과정은 아직 제5차 교육과정이고, 제6차 교육과정은 고시되었으나 적용되기 직전 해였으므로 교과 교육과정 연수와 교과서 선택 등이 진행되고 있었다. 수능은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능의 3년 차가 적용되는 해였다. 제6차 교육과정은 고등학교에 1996년부터 적용되었
김창현
2023.08.28 17:59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수리부엉이(멸종위기야생생물2급, 천연기념물제324호)
김창현
2023.08.25 09:31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흰눈섭뜸부기 1, 2, 3
김창현
2023.08.24 09:31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제부도
김창현
2023.08.23 09:31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아가 장다리물떼새
김창현
2023.08.22 09:31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2) - 대입제도 개편사(4) 제5차 교육과정과 대입제도 (1995~1997학년도)
1990년대는 21세기를 준비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어서인지, 교육과정과 대학입시가 정신없이 달라지는 때였다.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의 특징인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는 사람을 기르기 위한 교육 정책은 산업 역군을 길러내는 교육 방식과는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입시도 성적만으로 선발하는 것은 과거의 방식이라고 생각했다. 이
김창현
2023.08.21 19:00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어치 이소 1, 2
김창현
2023.08.21 09:31
기고
지효(芝曉)의 붓놀이(99)
한문과 한글, 영어, 그리고 캘리.. 붓을 쥐고 휘저은 지 50년.. 미국 북동부 보스턴의 서예가 지효(芝曉)의 자유분방한 붓 세상을 만끽한다.
김창현
2023.08.18 09:32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흰눈섭뜸부기 1, 2, 3
김창현
2023.08.18 09:31
기고
오피니언 기고 [한시여행] 66 서예-번역-한글… 3색 감상
김창현
2023.08.17 23:53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노랑딱새 암컷
김창현
2023.08.17 09:14
기고
전 서울대입학사정관의 공부법 (141) - 대입제도 개편사(3) 수능 제도 도입과 1994 대입
1985년 3월 발족된 교육개혁심의회에서 입시 개혁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교육개혁심의회가 제시한 개선안은 학생 선발에서 대학의 권한을 대폭 허용하는 방안이었다. 대학입시는 국가가 실시하는 학력고사에다 고등학교 교과 성적을 반영하여 선발하는 국가 관리 모형에서 대학 자율 모형으로 바뀔 전망이었다.1985년은 학력고사와 대학
김창현
2023.08.16 13:26
기고
서능원 작가의 포토산책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243-2호 검독수리
◆ 서능원 작가 프로필 ◆
김창현
2023.08.16 09:31
1
|
2
|
3
|
4
|
5
내용
내용